고구려에서 유행한 도교(강서대묘의 사신도)

고구려에서 유행한 도교(강서대묘의 사신도)

M 지금 0 299

삼국 시대에는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자연을 숭배하고 늙지 않고 오래오래 사는 것을 추구한 종교인 도교가 널리 전파되었어요.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도교가 이루고자 했던 이상적인 세계를 예술로 표현하면서 여기에 죽은 뒤에 다가올 세계에 대한 믿음을 담기도 하였지요. 

고구려 사람들 중에도 도교를 믿는 사람들이 하나둘 생겨나면서 그들의 믿음을 무덤에 표현했어요.


그래서 무덤의 주인공을 지켜주려는 마음을 담아 동쪽 벽에는 푸른색의 청룡, 서쪽 벽에는 흰 털을 가진 백호, 남쪽 벽에는 봉황을 닮은 주작, 북쪽 벽에는 뱀과 거북을 합친 모습의 현무를 그렸어요. 

이 그림을 사신도라고 해요. 

물론 사신도의 청룡, 백호, 주작, 현무는 실제 존재하는 동물이 아니라 상상 속의 동물들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에요.


평안남도 강서군에 있는 강서대묘의 사신도를 통해 우리는 고구려 사람들 중에는 사후 세계와 도교를 믿었던 사람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지요.


고구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그들의 생각이 궁금한가요? 

그러면 고구려 고분 벽화를 살펴보세요. 

무덤 속 벽과 천장에 그려진 생생한 그림들이 여러분의 질문에 바로 답해 줄 거예요.



bea2f8b9d0a3070c8956d5dfc17ad91a_1719739122_3862.JPG
강서대묘의 사신도(평안남도 강서)

동북아역사재단

0 Comments
고구려, 고분 벽화를 남기다
M 지금 0 285 2024.06.30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는 죽은 사람의 시신을 보호하고 넋을 기리기 위해 무덤을 만들었어요.무덤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고, 나라마다 형태가 다양했습니다.우리나라에서도 구덩이 내부 둘레에 돌벽을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놓는 돌덧널무덤, 기둥돌에 덮개돌을 얹은 고인돌, 항아리 두 개를 이어 만든 독무덤 등 다양한 무덤들이 만들어졌지요.삼국 시대에 이르러 고구려에서는 돌을 쌓아 놓은 돌무지무덤을 만들었어요.그러다가 점차 돌로 만든 방이 있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어갔어요.이러한 굴식 돌방무덤은 주로 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이었는데, 이곳의 벽과 천장에 그림이 있어요.이처럼 무덤 안의 벽과 천장에 그림을 그린 이유는 무엇일까요?이것은 단순히 무덤 안을 아름답게 꾸미고 싶은 목적 외에도 무덤의 주인이 살아있을 때 기억하고 싶어 했던 모습을 그렸다고 할 수 있어요.또한 무덤의 주인이 죽은 뒤의 세계에서도 잘 살았으면 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지요.이와 같은 그림을 옛 무덤의 벽에 그려진 그림이라는 의미에서, 옛 고(古), 무덤 분(墳)자를 써서 고분 벽화라고 하지요.앞의 무덤 그림은 고구려의 굴식 돌방무덤 가운데 하나에요.그림에서 보듯이 무덤 입구와 돌방 사이에 굴처럼 된 널길(통로)이 있어요.이러한 널길이나 이음길은 물론 돌방의 벽과 천장의 벽에는 다양한 그림들이 그려져 있지요.이 그림을 통해 고구려 사람들이 어떤 옷을 입고, 어디에서 살았으며, 무엇을 먹었는지 알 수 있어요.물론 고구려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했는지도 벽화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답니다.그러면 고구려 무덤에만 벽화가 있을까요? 그렇지는 않아요. 오래된 외국의 여러 무덤에서도 벽화가 발견되었어요.그러나 외국의 경우, 마른 벽에 그냥 그림을 그리거나, 회(석회)를 칠한 후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색을 칠한 것이 대부분이에요.그런데 고구려 벽화는 외국 벽화와 다른 점이 있어요.그것은 바로 벽에 회(석회)를 바르고 완전히 마른 다음에 색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에요.그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마른 다…
고구려의 음식 문화를 알려 줄까? 안악 3호분의 부엌 그림
M 지금 0 277 2024.06.30
안악 3호분 벽화 중 부엌(황해도 안악)동북아역사재단분주하게 식사를 준비하는 부엌의 모습이 그려진 이 그림은 무엇일까요?고구려 세 번째 수도였던 평양 아래쪽에 위치한 황해도 안악 지역에 있는 안악 3호분의 부엌 그림이에요.이 벽화를 보면 고구려 귀족이 살고 있는 집의 부엌이 어떤 구조를 갖고 있는지, 또 고구려 사람들은 무엇을 즐겨 먹었는지 알 수 있어요.위 벽화를 보면 부뚜막 아궁이 앞에 쭈그리고 앉아 불을 지피는 여인이 보이죠?또 둥근 모양의 시루 앞에 서서 국을 끓이는 여인도 보이고, 옆에서 부지런히 상을 차리는 여인도 있네요.부엌 앞에서 두 마리의 개가 뭐 먹을 것이 없나 하는 표정으로 어슬렁거리고 있는 모습이 재미있어요.부엌 뒤에 있는 고기 창고에는 여러 종류의 고기가 통째로 갈고리 줄에 걸려 있어요.마치 오늘날의 동네 정육점 같네요.집 안에 고기 창고가 있을 정도면 아마도 신분이 높은 귀족의 집이겠죠?부엌과 고기 창고의 지붕을 보니 고구려 귀족들은 기와집에서 살았나 봐요.이 벽화를 통해 고구려 사람들이 무엇을 먹고 살았는지 짐작할 수 있어요.고구려 사람들은 잡곡 외에도 집에서 기르는 가축도 먹고, 사냥을 통해 잡은 짐승들도 먹었어요.
고구려에서 유행한 도교(강서대묘의 사신도)
M 지금 0 300 2024.06.30
삼국 시대에는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자연을 숭배하고 늙지 않고 오래오래 사는 것을 추구한 종교인 도교가 널리 전파되었어요.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도교가 이루고자 했던 이상적인 세계를 예술로 표현하면서 여기에 죽은 뒤에 다가올 세계에 대한 믿음을 담기도 하였지요.고구려 사람들 중에도 도교를 믿는 사람들이 하나둘 생겨나면서 그들의 믿음을 무덤에 표현했어요.그래서 무덤의 주인공을 지켜주려는 마음을 담아 동쪽 벽에는 푸른색의 청룡, 서쪽 벽에는 흰 털을 가진 백호, 남쪽 벽에는 봉황을 닮은 주작, 북쪽 벽에는 뱀과 거북을 합친 모습의 현무를 그렸어요.이 그림을 사신도라고 해요.물론 사신도의 청룡, 백호, 주작, 현무는 실제 존재하는 동물이 아니라 상상 속의 동물들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에요.평안남도 강서군에 있는 강서대묘의 사신도를 통해 우리는 고구려 사람들 중에는 사후 세계와 도교를 믿었던 사람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지요.고구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그들의 생각이 궁금한가요?그러면 고구려 고분 벽화를 살펴보세요.무덤 속 벽과 천장에 그려진 생생한 그림들이 여러분의 질문에 바로 답해 줄 거예요.강서대묘의 사신도(평안남도 강서)동북아역사재단
-->